1학년 3반
  • 교육마당 > 학급공부방
  • 1학년 3반

제목

1326전해인

  • 작성자전해인 이메일
  • 작성일2016-04-03 18:52
  • 조회72

국어 1326 전해인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스피치에서 국정교과서 반대측 입장에서 3분 동안 제 의견을 발표 하겠습니다. 제가 국정교과서에 반대하는 이유는 역사는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해 생각을 기르는 과목인데 2003년도 이전 국정화 체제의 문제점을 본다면 암기 위주의 똑같은 주입식 교육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그나마 검정체제가 도입 되면서 교사와 학생들이 다양한 사고를 공유할수 있게 되었는데 또 다시 획일화된 교육으로 돌아갈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국사교과서 국정화는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범죄입니다
친일을 미화하고 이승만을 건국대통령으로 5·16을 혁명으로 10월 유신을 한국적 민주주의로 가르치기 위해 국사를 수능필수과목으로 또 국정교과서로 가르치겠다는 것인데 오류와 왜곡, 친일사관으로 점철된 교학사교과서를 부활하겠다는 정부의 시대착오적인 역사왜곡은 중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정교과서는 세게 흐름과 맞지 않는 퇴행적 발상입니다
OECD국가 중에는 국정교과서를 채택한 국가는 한 곳도 없습니다. 미국·영국·프랑스·오스트레일리아 등은 교과서 자유 발행제를 채택하고 있고 캐나다는 국가가 교과서로 적합한 도서를 학교에 제공하는 인정제를, 일본은 현재 우리나라와 같은 검정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지구상에서 국정교과서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는 북한과 베트남뿐입니다.
또 한국사가 수능 필수 과목이라서 교과서가 여러권일 경우 수능 준비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있다고들 하지만 획일화된 암기식 역사 교육으로 학업부담이 늘고 흥미가 떨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국정교과서를 근거로 일본이 역사 왜곡을 따진다면
국정 교과서에서 일어나는 왜곡은 곧 정부가 그렇게 생각한다는 것이며, 이를 일본 정부가 비판해 들어온다면 우리로서는 대응하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국정이 아니라 검정을 채택했다는 것은 역사 해석 과정에서 다양한 해석을 인정한다는 것이라고 명분상 표방할 수가 있습니다.
일본이 ‘우리는 검정제를 채택해서 다양한 역사 해석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한국은 다양한 해석을 허용하지도 않고 국정 교과서를 내놓으면서 왜 우리에게 역사를 왜곡한다고 시비냐’하고 나오면 우리는 할 말이 없어집니다.
이상으로 국정화 교과서에 반대하는 제 의견이였습니다


  • 연번

    제목

    파일

    작성자

    작성일

    조회

맨처음이전 5페이지12345다음 5페이지마지막

바로가기 호출버튼

바로가기